안녕하세요. 투자 꿈나무입니다.
"10년 동안 적금밖에 모르던 39세 김 과장은 어떻게 1년 만에 부동산 천재가 됐을까?" 책에서 알게된 매입자 거주지별 거래량 데이터 확인을 매달 진행하고자 합니다.
참고로 해당 책에 관한 리뷰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참고해주세요.
[책 리뷰] 10년 동안 적금밖에 모르던 39세 김 과장은 어떻게 1년 만에 부동산 천재가 됐을까? - 김
안녕하세요 투자 꿈나무 입니다. 오늘은 부동산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해 말해주고 있는 "10년 동안 적금밖에 모르던 39세 김 과장은 어떻게 1년 만에 부동산 천재가 됐을까?"을 리뷰하도
ethsms.tistory.com
매입자 거주지별 데이터는 한국감정원 통계사이트(r-one.co.kr)의 부동산통계>부동산거래현황>아파트매매 거래현황>월별 매입자거주지별에서 다운로드 받았으며, 서울, 경기도, 인천에 관한 데이터만 계산하였습니다.
각 항목에 대한 설명
1. 관할시군구내
- 같은 구에서 살던 사람이 같은 구의 아파트를 매입하면 집계되는 항목으로 실거주 목적일 가능성이 큼
2. 관할시도내
- 다른 구에서 살던 사람이 다른 구의 아파트를 매입하면 집계되는 항목으로 투자와 실거주의 경계선에 있음
3. 관할시도외_서울
- 서울에 살던 사람이 해당 시 및 도의 아파트를 매입하면 집계되는 항목으로 실거주 목적일 수도 있지만 다른 의도가 더 크다고 볼 수 있음
4. 관할시도외_기타
- 서울이 아닌 다른 시 및 도에서 살던 사람이 해당 시 및 도의 아파트를 매입하면 집계되는 항목으로 실거주 목적일 수도 있지만 다른 의도가 더 크다고 볼 수 있음
매입자 거주지별 데이터 확인
10년 평균 거래 데이터보다 많을 경우 초록색 볼드체로 표시됩니다.

이것으로 22년 05월 매입자 거주지별 거래량 데이터를 확인하였습니다.
데이터가 업데이트되면 다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. 블로그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'부동산 > 부동산 관련 통계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재와 동일한 금리였던 과거와 비교했을 때 현재 대출 금리가 너무 높다. (0) | 2022.06.16 |
---|---|
[근로소득 수준] 21년 수도권 내 지역 별 소득 수준 확인 (4) | 2022.04.16 |
[매입자 거주지별 거래량] 22년 02월 수도권 내 거래량 데이터 확인 (0) | 2022.04.06 |
댓글